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하면 문자열 연결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.
기존 방식
변수명 + 변수명 + 변수명 을 통해서 문자열을 연결하였다.
let lastName = "lastName"
let firstName = "firstName"
let middleName = "middleName"
console.log(lastName + " , " + firstName + " , " + middleName )
결과)
lastName , firstName , middleName
템플릿에서는 ${}를 사용해서 문자열 안에 변수를 넣을 수 있다.
let lastName = "lastName"
let firstName = "firstName"
let middleName = "middleName"
console.log(`템플릿 방식 : ${lastName} , ${firstName} , ${middleName} `)
결과)
템플릿 방식 : lastName , firstName , middleName
템플릿 문자열은 공백( 탭, 개행 문자 등 ) 을 유지한다.
let htmlContents = `
<section>
<header>
<h1>IT 삽질</h1>
</header>
</section>
`
console.log(htmlContents);
결과)
<section>
<header>
<h1>IT 삽질</h1>
</header>
</section>
'프로그래밍 > ES6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S6 - 브라우저에서 바벨(babel)을 통한 트랜스파일링 (0) | 2019.06.26 |
---|---|
ES6 - function this vs 화살표 함수(=>)의 this 차이점 (0) | 2019.06.26 |
ES6 - 화살표로 함수 만들기 => , function 키워드 없이 함수 만들기 (0) | 2019.06.26 |
ES6 - 함수 파라미터 기본값(디폴트값) 적용하기 (0) | 2019.06.26 |
ES6 - 변수 선언하기 (0) | 2019.06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