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조 분해를 사용해서 객체 안에 있는 필드 값을 원하는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.
var character = {
head : '왕의 투구' ,
leftHand : '왕의 검' ,
rightHand : '왕의 방패' ,
twoHand : '없음'
}
var {leftHand, rightHand} = character
console.log(`왼쪽 장비 : ${leftHand} , 오른쪽 장비 : ${rightHand}`)
// 왼쪽 장비 : 왕의 검 , 오른쪽 장비 : 왕의 방패
character의 leftHand 와 rightHand 필드를 같은 이름의 변수에 넣어준다.
두 변수의 값은 rightHand에 있는 같은 이름의 필드 값으로 초기화 된다.
객체를 분해해서 함수의 인자로 넘길 수 있다.
const handEq = ({leftHand, rightHand}) =>
console.log(`왼쪽 장비 : ${leftHand} , 오른쪽 장비 : ${rightHand}`)
var character = {
head : '왕의 투구' ,
leftHand : '왕의 검' ,
rightHand : '왕의 방패' ,
twoHand : '없음'
}
handEq( character )
// 출력 :
// 왼쪽 장비 : 왕의 검 , 오른쪽 장비 : 왕의 방패
const handEq = ({leftHand, rightHand}) =>
console.log(`왼쪽 장비 : ${leftHand} , 오른쪽 장비 : ${rightHand}`)
handEq는 인자로 전달된 객체에서 leftHand와 rightHand 필드 값을 해당하는 변수에 대입한다.
그리고 그 변수의 값을 console.log로 출력한 것이다.
'프로그래밍 > ES6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S6 - 배열를 구조 분해해서 필드 값 얻기 (한번에 객체 필드 값 변수에 할당하기) (0) | 2019.06.26 |
---|---|
ES6 - 브라우저에서 바벨(babel)을 통한 트랜스파일링 (0) | 2019.06.26 |
ES6 - function this vs 화살표 함수(=>)의 this 차이점 (0) | 2019.06.26 |
ES6 - 화살표로 함수 만들기 => , function 키워드 없이 함수 만들기 (0) | 2019.06.26 |
ES6 - 함수 파라미터 기본값(디폴트값) 적용하기 (0) | 2019.06.26 |